티스토리 뷰

동학농민운동 녹두장군 전봉준 화제 

 '열혈사제' 후속으로  첫방송된 '녹두꽃'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드라마 '녹두꽃'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혁명군과 토벌대로 갈라져 싸워야 했던 이복형제와 여거상의 파라만장한 휴먼 스토리를 담은 드라마 입니다. 




드라마는 '동학농민혁명'을 배경으로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녹두장군 전봉준의 일대기가 아니라 좌절로 얼룩졌던 그 시절을 살아가던 민초들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낼 예정이라고 합니다. 



'녹두꽃'이 뜨건운 관심을 받으면서 동학농민운동 녹두장군 전봉준도 실시간 화제를 모으며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동학농민운동은 1860년 최제우에 의해 동학이 창시도니 후 평등사시을 바탕으로 봉건사회를 반대하고 서학과 왜를 배척하는 반외세사상을 주장하면서 조선 사회의 그 교세가 확산되었습니다.




이에 조선의 위정자들은 동학을 사교로 금지하고 1864년 혹세무민의 죄로 교조 최제우를 처형하였으며, 이후 동학교도들에 대한 조선의 탄압은 계속되었습ㄴ다. 그러나 동학 제2대 교주 최시형에 의해 동학이 농민 대중에게 더욱 확산, 조직화 되면서 동학의 창시자였던 최제우에 대한 억울함을 해소하고 동학교도들에 대한 탄압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는 교조신원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교조신원운동 이후에도 계속되는 정부의 묵살과 더불어 전라도 군소 조병갑의 불법착취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한 불만이 도화선이 되어 ,, 동학교도들은 1894년 1월 전봉준을 중심으로 전라도. 충청도 일대 농민들을 모아 고부 관아를 습격해 고부민란을 일으켰습니다. 



관아를 점령한 전봉준은 정부에 대하여 조병갑의 횡포를 시정할 것과 외국 상인의 침투를 금지하라는 등의 요구사항을 제시한 결과, 정부로부터 폐정을 시정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10일만에 해산하였습니다. 




그러나 고부민란을 조사하러 온 안핵사 이용태가 오히려 민란 관련자들을 역적죄로 몰아 혹독하게 탄압하여 동학농민운동의 봉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비록 실패했지만, 이 운동으로 안으로는 갑오개혁과 청. 일전쟁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 이후 3.1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드라마 '녹두꽃'에서 등장하는 전봉준은 어릴 때부터 몸집이 왜소하여 녹두라는 별명으로 불렸습니다.  전봉준은 전형적인 몰락 양반으로 서당 훈장이신 아버지 전창혁 밑에서 자랐으며 커서는 서당에서 훈장으로도 활동했으며 한약방을 운영. 지관으로 묘자리를 점지해주기도 하며 생계를 유지해왔습니다.




35세 전후 늦은 나이에 동학을 접하고 동학에 입교한 뒤 얼마 안되어 동학의 제2세 교주 최시형으로부터 고부지방의 동학접주로 임명되어 동학을 사회 개혁의 지도 원리로 인식하고 농민의 입장에서 동학교도와 농민을 결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아버지 전창혁이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저항하다가 고역을 당했으며 지방관의 수탈로 고통을 겪는 백성들을 보고 대항하여 참다못해 동학농민운동을 이끌었습니다.




손화중,김개남 등과 함께 동학농민운동을 하며 정부와 외세에 맞서 싸우지만 결국 우금치 전투에서 패한 이후 전라도 순창에서 부하였던 김경천의 밀고로 체포되어 일본군에게 넘겨져 서울로 압송되었으며 재판을 받은 뒤 41세 교수형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댓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